컴퓨터 구조를 알아야 하는 이유
1. 문제 상황을 빠르게 진단할 수 있고,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을 수 있다.
2. 서버 컴퓨터,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CPU, 메모리 등 성능/용량/비용을 고려하여 선택할 수 있다.
컴퓨터
정의 : 명령어를 처리하는 기계
종류 : 아두이노, 라즈베리 파이 / 스마트폰, 노트북, 데스크톱, 서버 컴퓨터
컴퓨터 구조 도식화

컴퓨터 구조는 크게 컴퓨터가 이해하는 정보(0과 1로 표현된 정보. e.g. 데이터, 명령어), 컴퓨터의 네 가지 핵심 부품(CPU, 메모리, 보조기억장치, 입출력장치)으로 나눌 수 있다.
CPU
: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를 읽어 들이고, 읽어 들인 명령어를 해석하고, 실행하는 부품.
- Arithmetic Logic Unit(계산기)
- register(작은 임시 저장 장치)
- Control Unit(전기 신호를 내보내고 명령어를 해석하는 장치)
으로 구성되어 있다.
Main Memory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는 부품. 보통 RAM을 지칭한다.
- 프로그램이 실행되려면 반드시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어야 한다.
- 메모리에 저장된 값의 위치는 주소로 알 수 있다.
Random Access Only
Read Only Memory
메모리의 단점
- 가격이 비싸 저장 용량이 적다.
- 전원이 꺼지면 저장된 내용을 잃는다.
Secondary Storage
: 메모리(주기억장치)보다 크기가 크고 전원이 꺼져도 저장된 내용을 잃지 않는 메모리를 보조하는 저장 장치.
e.g. 하드 디스크, SSD, USB 메모리, DVD, CD-ROM
메모리 vs. 보조기억장치
메모리 : 현재 실행되는 프로그램 저장
보조기억장치 : 보관할 프로그램 저장
I/O device
: 컴퓨터 외부에 연결되어 컴퓨터 내부와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부품.
c.f. Peripheral Device
: Secondary Storage와 I/O device 통칭.
Main Board
: 컴퓨터의 핵심 부품을 연결하는 판. mother board라고도 한다.
- 컴퓨터 부품을 부착할 수 있는 슬롯과 연결 단자가 있다.
- 메인보드 내부의 bus라는 통로로 정보를 주고 받는다.
- 그 중 system bus는 CPU, memory, secondary storage, I/O device가 서로 정보를 주고 받는 통로이다.
c.f. system bus
- 주소 버스
- 데이터 버스 : 데이터와 명령어를 주고 받음.
- 제어 버스 : 제어 신호를 주고 받음.
로 구성되어 있다.
출처 :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강민철)
'CS' 카테고리의 다른 글
[Operating System] 운영체제를 알아야 하는 이유 (1) | 2023.10.25 |
---|---|
[Computer Architecture] 0과 1로 문자 표현하기 (1) | 2023.10.11 |
[Web] Web Server 관련 개념 (0) | 2023.10.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