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2

@RequestBody와 @ModelAttribute를 언제 사용해야 할까?

Intro Spring Boot 프로젝트 진행 중 REST API로 개발하다가 Thymeleaf 사용 차 @Controller 어노테이션으로 변경한 일이 있었다. 모여서 회의하다가 Server Side Rendering와 Client Side Rendering에 대한 개념 등 조금 더 알아보기로 했다. 그 중 난 @RequestBody와 @ModelAttribute의 차이점과 언제 활용할 수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본 내용을 바탕으로 팀 기술 문서 자료를 준비했다. 컨텐츠 주제 @RequestBody VS @ModelAttribute 차이점, 유사점 등등 각각 특징 등을 비교해서 포스팅 해주세요. 이때 해당 작업은 어떨 때 구분해서 사용 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해주고! 해당 작업을 사용한 예시 코드도 좀 부탁드..

Project 2024.02.26

[Spring Boot] Lombok

Intro Spring Boot를 사용하면서 Lombok을 너무나 당연하게 써왔다. JPA의 필수 도구인 Lombok에 대한 강의를 들으면서 Annotation의 의미, 활용법과 어떤 원리로 쓰이는지 잘 이해할 수 있었다. Lombok JPA의 필수 도구. 여러 개의 field 변수를 가지고 캡슐화 원칙에 의해 Getter, Setter를 많이 만들어야 하는 JPA의 특성상, 꼭 필요한 라이브러리이다. c.f. JPA와는 별개의 라이브러리이다. JPA에서의 Entity 기본 구조 field 변수와 Getter, Setter의 조합으로 만들어진다. Lombok Annotation이 원래는 어떤 형태일까? domain package를 만들고 하위에 User 클래스를 만들었다. Lombok, Delombok은..

Java 2023.10.24